색동원 모아보호작업장 생활1팀 생활2팀 자립자원 의료 회계사무 자원후원 영양 시설관리

지원서비스

  >   지원서비스  >   지원서비스 안내

입소안내 서비스체계도 지원서비스 안내 식단표

지원서비스 안내

개별화된 서비스지원

  • 이용자의 잠재 능력과 욕구를 반영한 개별 서비스 계획을 수립하고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자기결정권을 강화하며, 자립 능력과 사회성 기능을 회복하여 삶의 질을 향상
프로그램대상내용
개별서비스지원 계획 및 평가이용자 전체
  • 개인별 종합사정 : ABS-RC2
  • 연간 개별서비스 지원계획 수립
  • 서비스 및 프로그램 지원
  • 개인별 서비스지원평가
욕구 및 만족도 조사이용자 전체
  • 이용자 입장에서 바라보며 질 높은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
  • 수행중인 프로그램의 타당성 평가와 기초자료를 파악
  • 서비스의 개발, 기존 서비스를 보완
고충처리이용자 전체
  • 건의함 및 개별 상담
  • 진정함 관리
  • 고충 처리함 및 진정함 사용법 교육
안내서 제작 및 활용하기이용자 전체
  • 시설안내서 제작으로 예비 이용자의 선택권 보장
  • 의사소통도구 활용으로 지적장애인의 의사결정 지원
입소 및 퇴소 지원입소 및 퇴소 희망자
  • 입소지원 : 입소자의 욕구 파악 및 시설안내, 정보제공
  • 퇴소지원 : 전원,자립, 가정복귀 지원
퇴소 이용자 지원퇴소자
  • 전화연락, 상담,방문 등을 통한 지속적인 관계형성
  • 지원계획에 따른 개별서비스 지원

의료서비스

  • 이용자의 건강 욕구를 존중하며, 개인별 건강 상태에 따라 촉탁의 진료와 적합한 병원 진료를 지원하므로 질병을 사전에 예방하고, 전문의 처방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건강을 유지하고 안위를 도모
프로그램대상내용
진료지원이용자 전체
  • 정신과 왕진
  • 촉탁의 진료
  • 이용자 건강검진
  • 이용자 암 검진
  • 이용자 수술지원
  • 이용자 질병 입·퇴원
  • 응급상황 발생 시 경중을 파악하여 119 또는 가까운 병원 응급실로 이송
  • 만성질환 병원 정기진료
  • 독감예방접종
  • 코로나19 예방접종
의약품 관리 및 복약 지원이용자 전체
  • 이용자에게 처방된 약을 정확하게 투여할 수 있도록 관리
  • 정신과 및 만성질환자 복용과 관리, 외용연고 및 구충제 상하반기 복용
물리치료이용자 전체
  • 통증·재활치료(전기치료,도수치료,운동치료)
비만관리이용자 전체
  • 실내·외 유산소운동
  • 체지방 관리 및 심폐지구력 향상
심리안정이용자 전체
  • 스노젤렌실, 심리안정치료
개별 의료지원 기록 및 관리이용자 전체
  • 이용자의 특별 상황 및 전문의 소견, 병원진료 기록, 입퇴원 내용을 기록(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입력)
  • 월1회 건강체크 실시(혈압,맥박,체중,체온,당체크 등)
  • 건강검진 기록
  • 건강상태 사정
  • 의료급여일수 연장승인신청서 제출
건강관리 및 교육이용자 전체
  • 연1회 건강검진 지원
  • 연1회 약물관리교육
  • 연2회 감염병예방교육
  • 연1회 응급상황교육(소방서 연계)
  • 연1회 구강관리교육(강화군보건소 연계)

급식서비스지원

  • 모든 이용자에게 균형 잡힌 영양 섭취를 제공하기 위해 5가지 기초 식품군에 기반한 다양한 식단을 계획하고, 양질의 식재료 구매 및 관리를 통해 안전하고 건강한 급식 서비스를 제공
  • 기호도 및 만족도 조사를 통해 이용자의 식사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여 개별 서비스 계획에 반영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급식 서비스를 실현
프로그램대상내용
급식 관리 이용자 전체
  • 계절식품을 이용한 5가지 기초식품군으로 골고루함유된 식단 작성
  • 이용자의 특성에 맞는 식단 작성
  • 연령에 따라 1일 필수영양소 고려한 식단 작성
치료 및 특별식 관리 이용자 전체
  • 이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식단관리
  • 명절 및 절기에 맞는 먹거리 준비
기호도 및 만족도 조사 이용자 전체
  • 이용자들의 급식 만족도를 높임
  • 이용자 개개인에 맞는 개별 식단을 제공
영양 및 위생교육 이용자 전체
  • 이용자들의 건강한 식생활 향상과 위생적인 식습관 개선

참여와권리서비스

  • 이용인이 자발적으로 동의하고 선택하며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교육을 통해 자기 권리를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켜 참여와 권리를 보장
프로그램대상내용
자치회이용자 전체
  • 사업 및 사업 평가 설명, 고충 및 안건 취합
  • 자치회장 및 총무를 직접선출
  • 다양한 교육(인권,예절,성교육등)
가정별 회의이용자 전체
  • 전월평가
  • 욕구표현 및 개별계획
  • 소통의 시간
  • 회의록에 대한 개인별 확인
  • 가정별 정기회의
인권지킴이단이용자 전체
  • 장애인 인권교육
  •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사업
  • 진정함 설치 운영 매월 인권점검 및 분기별 정기회의
인권교육이용자 전체
  • 인권 강사 초빙
  • 장애인의 인권 감수성향상
  • 시청각 자료를 활용, 이용자의 인권과 관련된 정보파악
  • 장애인이 스스로 인권을 인지하고, 인권 전문가로성 장할 수 있도록함
보호자 간담회해당 이용자
  • 상반기: 보호자 대표선출, 예·결산보고, 이용자금 전 현황 보고, 인용자 개별지원 연간계획서 보호자 확인
  • 하반기 : 보호자 교육, 상반기 사업보고 및 하반기일정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