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명칭 | 중증장애인거주시설 색동원 |
---|---|
시 설 장 | 김 범 철 |
설치신고일 | 2008년 11월 17일 |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가오하군 길상면 장촌길31 (길직리 835-27) |
서비스대상 | 1급·2급 중증장애인 |
이용자 삶의 질 향상 및 사회통합실현 | 지역사회 주민으로의 시설(거주인 사회통합실현) | 사회통합과 탈시설의 여건 확대 | - 정보 및 지역사회 접근성 확보 - 생활리듬 패턴의 정상화 - 가치 있는 사회참여의 기회 확대 |
---|---|---|---|
경제적, 사회적 자립체계지원 | - 정부 및 민간지원을 통한 자립체험 확대 - 자산관리를 통한 자립금 확보 - 사회적 지지망 확대 | ||
지역사회로 거주지 이전 | - 소규모 거주시설로써 지역사회 정착 - 체험홈, 안정화 실현 - 지역사회주거 지원센터(공통생활가정)설립 | ||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시설 | 기관운영 표준안 마련 및 서비스질 향상 | - 서비스 최소기준안 마련 및 실현
- 서비스 품질향상 기준안 마련 - 서비스 지원 주체인 직원역량 강화 |
|
지역사회 자원 및 관계망 확충 | - 지역사회 내 다양한 자원 확보 - 전략적 자원개발 관리 - 지역사회 자원구성 로드맵 만들기 | ||
지역사회 참여와 협력증진을 통한 성장 | - 지역사회 내 다양한 서비스 활용 -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체계 확립 - 장애인식개선 사업의 활성화 - 기관 전문성의 전략적 홍보 | ||
거주인 중심의 서비스(정상화) | 장애인의 인권과 행복체계지원 | - 이용자 권익보호를 위한 규정 및 조직구성 운영 - 이용자 참여권리 확대 - 정상화에 입각한 삶의 모습 지원 | |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강화와 참여증진 | - 개별서비스지원체계 확립 - 이용자의 자기결정권 강화 및 확대 - 이용자 자치회 운영 | ||
거주환경의 정상화 | - 거주공간의 가정화된 분위기 조성 - 주거환경 개선 |
정원 | 현원 | 남 | 여 |
---|---|---|---|
30 | 30 | 15 | 15 |
구분 | 계 | 훈련생수 | |
---|---|---|---|
남 | 여 | ||
근로인 | 10 | 5 | 5 |
훈련생 | 20 | 10 | 10 |
총계 | 30 | 15 | 15 |
구분 | 계 | 장애등급별 | |||
---|---|---|---|---|---|
지적장애 | 자폐성장애 | ||||
심한장애 | 심하지않은장애 | 심한장애 | 심하지않은장애 | ||
30 | 30 | 28 | - | 2 | - |
18세 ~ 30세 | 30세 ~ 40세 | 40세 ~ 50세 | 50세 이상 |
---|---|---|---|
5 | 10 | 10 | 5 |
중장기 1차 발전계획 (2020~2021) | 중장기 2차 발전계획 (2022~2023) | 중장기 2차 발전계획 (2024~) |
---|---|---|
· 중증장애인생산품생산 시설지정 · 신사업개발 및 장비기능보강 사업 추진 · 재가 장애인 모집을 통한 정원 확보 · 이용자 중심의 다양하고 개별화된 재활서비스 제공 · 시설기능보강을 통한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 |
· 근로장애인 1/3에게 최저임금 지급 · 월평균임금은 최저임금에 60%이상을 전체 근로장애인에게 지급 · 특화사업 활성화로 인한 사업확장 ·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고유브랜드 개발 |
· 근로장애인 1/3에게 최저임금 지급 · 월평균임금 최저임금에 70%이상을 전체 근로장애인에게 지급 · 종사자의 장기근속을 위한 다양한 복리후생 실시 · 근로인 개인별 원룸형 기숙사 기능보강사업 추진 |